이직 vs 현직 총보상 계산기

현 직장과 이직 제안의 총 보상 패키지를 종합적으로 비교해보세요.

총보상(Total Compensation) 계산기 안내

이 계산기는 현 직장과 이직 제안을 단순 연봉이 아닌 총보상(Total Compensation) 관점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고려되는 항목:

  • 기본 연봉: 세전 연간 급여
  • 보너스: 연간 예상 성과급, 인센티브
  • 스톡옵션/RSU: 주식 보상의 연간 환산 가치
  • 출퇴근 비용: 교통비, 주차비 등 (연간)
  • 출퇴근 시간: 출퇴근에 소요되는 시간의 기회비용
  • 식대지원: 회사에서 제공하는 식대 혜택 (연간)
  • 복지혜택: 건강보험, 연금, 휴가, 교육비 등의 금전적 가치 (연간)
  • 성장가치: 경력 발전, 스킬 향상 기회의 잠재적 가치 (연간)

계산 방법:

비재무적 요소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여 비교합니다:

  • 출퇴근 시간 가치: (분 × 250일 × 왕복 × 시간당 가치)
  • 식대: (일 식대 × 250 근무일)
  • 복지혜택: 각 혜택의 시장 가치 합산
  • 성장가치: 향후 3-5년간 연봉 상승 잠재력의 연간 환산값

예시 데이터로 시작하기

계산기 사용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예시 데이터를 사용해 보세요:

입력 탭으로 이동하여 현 직장과 새 직장의 정보를 입력해 보세요.

계산 방법 도움말

  • 출퇴근 비용/시간: 음수로 표시되는 항목으로, 출퇴근 비용이 낮고 시간이 짧을수록 총보상에 긍정적입니다.
  • 성장 가치: 직무 경험, 교육 기회, 승진 가능성 등을 고려해 금액으로 환산한 값입니다.
  • 복지 혜택: 의료보험, 연금, 휴가, 복지포인트, 교육 지원금 등의 금전적 가치입니다.
  • 스톡옵션/RSU: 주식 보상을 연간 금액으로 환산한 값입니다.

💰 총보상이란?

총보상(Total Compensation)은 기본 연봉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직간접적 보상을 의미합니다.

  • 기본 연봉: 매월 지급되는 급여
  • 보너스: 성과급, 인센티브, 상여금
  • 주식 보상: 스톡옵션, RSU(제한부 주식), ESOP
  • 복리후생: 보험, 연금, 휴가, 식비, 교통비
  • 무형 가치: 업무 환경, 성장 기회, 작업 시간 유연성

총보상 관점에서 이직을 고려하면 더 합리적인 판단이 가능합니다.

🚀 이직 시 고려할 사항

  • 금전적 가치: 연봉, 보너스, 스톡옵션, 복지 혜택
  • 업무 내용: 업무 난이도, 책임 범위, 관심과 적성
  • 직장 문화: 기업 문화, 조직 구조, 의사결정 방식
  • 성장 기회: 경력 개발, 승진 가능성, 학습 기회
  • 업계 전망: 산업 성장성, 회사 안정성, 미래 가능성
  • 삶의 균형: 근무 시간, 유연성, 출퇴근 거리

자주 묻는 질문

Q: 출퇴근 시간의 가치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
A: 본 계산기에서는 출퇴근 시간을 시간당 8,000원의 기회비용으로 환산합니다. 이는 평균적인 근로자의 시간당 가치에 기반하며, 개인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Q: 스톡옵션이나 RSU의 가치는 어떻게 입력해야 하나요?

A: 회사에서 제공하는 총 주식 가치를 베스팅 기간으로 나눈 연간 가치를 입력하세요. 예를 들어, 4년간 1억원 가치의 스톡옵션이라면 연간 2,500만원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Q: 성장 가치는 어떻게 산정하나요?

A: 성장 가치는 해당 직장에서 얻을 수 있는 경력 발전, 기술 습득, 네트워킹 등의 기회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. 이는 주관적일 수 있으나, 예상되는 향후 3-5년간의 연봉 상승 가능성을 연간 금액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.

Q: 복지 혜택의 가치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
A: 회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혜택(의료보험, 연금, 휴가, 교육비 지원, 복지포인트 등)의 연간 금전적 가치를 합산하여 입력하세요. 일부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혜택은 시장 가치로 대체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.